본문 바로가기

Infra/Kubernetes

(3)
Docker Container 격리된 공간에서 프로세스가 동작하는 기술 가상화 기술의 하나지만 기존 방식과 차이가 있음 기존의 가상화 방식 - OS를 가상화 VMware / VirtualBox같은 가상머신은 호스트 OS위에 게스트 OS 전체를 가상화하여 사용하는 방식 위 방식은 여러가지 OS를 가상화 할 수 있고 비교적 사용법이 간단하지만 무겁고 느림 이러한 상황을 개성하기 위해 CPU의 가상화 기술(HVM)을 이용한 KVM과 반가상화 방식의 Xen 등장 위 방식은 게스트 OS가 필요하긴 하지만 전체 OS를 가상화하는 방식이 아니였기 때문에 호스트형 가상화 방식에 비해 성능이 향상됨 OpenStack / AWS / Rackspace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가상 컴퓨팅 기술의 기반이 됨 전가상화든 반가상화든 추가적인..
Cluster 서버 클러스터 각기 다른 서버 (Server Enterprise or Server Datacenter)들을 하나로 묶어서 하나의 시스템같이 동작하게 함으로써, 클라이언트들에게 고가용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클러스터로 묶인 한시슷템에 장애가 발생하면, 정보의 제공 포인트는 클러스터로 묶인 다른 정상적인 서버로 이동. 서버클러스터는 사용자로 하여금 서버 기반 정보를 지속적이고, 끊기지 않게 제공 받을 수 있게 함. 클러스터는 높은 수준의 가용성, 안정성, 확장성 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보다, 2개 또는 그 이상의 시스템을 이용. 클러스터 기술은 3가지 유형의 장애를 대비. (MS문서 참고)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 장애 : 어플리케이션과 필수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시스템과 하드웨어..
Container Orchestration 서버를 관리한다는 것 -> 서버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노력 서버 관리 방법 문서화 - OS 가 바뀌는 등 문서화를 해도 한계점이 있음 chef, puppet, ansible 등 도구를 사용 - 설정을 관리하는 것은 좋으나 설치된것이랑 달라 충돌 날 수 도 있음 + 난이도 높음 VM (가상머신) - 느리지만 관리가 직관적이지 않지만 좋긴 좋음. 그라나 요새 클라우드가 대세인데 클라우드에 알맞지 않음 docker 모든 실행환경을 컨테이너로 함. 어디서든 동작하고 쉽고 효율적임. 컨테이너의 특징 가상머신과 비교하여 컨테이너 생성이 쉽고 효율작 컨테이너 이미지를 이용한 배포와 롤백이 매우 간단 언어나 프레임워크에 상관없이 어플리케이션을 동일한 바식으로 관리 개발, 테스팅, 운영 환경은 물론 로컬 PC와 클라우..